미국서 퍼지는 라면 냄새…농심株 주목해야 하는 이유[0]
조회:292추천:0등록날짜:2022년01월24일 11시03분
미국서 퍼지는 라면 냄새…농심株 주목해야 하는 이유
페이지 정보
본문
[가격인상+미국시장 판매급증+한국시장 점유율 호조]
음식료 기업은 경기 방어주의 대표격으로 꼽힌다. 경기가 하방압력을 받을 때에도 실적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약세장에서 수익률 방어가 잘 되는 특성이 있다. 단점은 공격력이 부족하다는 것인데 IT(정보통신)나 바이오는 물론이고 전통 제조업과 비교해도 탄력이 떨어진다. 그래도 투자시점만 잘 파악하면 예상외로 음식료 기업 투자로도 쏠쏠한 성과를 올릴 수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해외에서도 K푸드 열풍이 불고 있어 깜짝 수출실적도 기대할 만 하다. 플러스 알파가 붙는 방어주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음식료주의 대표주자 농심을 주목할 때다.
경기방어주의 플러스 알파, 농심의 힘
농심(農心)은 사명 그대로 농민의 마음 을 뜻하는 식품기업이다. 창업주인 고(故) 신춘호 명예회장은 고(故) 신격호 롯데그룹 명예회장의 동생이다. 창립 첫 해 서울 대방동 라면공장에서 롯데라면을 출시했으며, 1967년 안양 및 부산공장을 세우고 1970년 국내 최초로 인스턴트 자장면을 만들었다.
1971년에는 국내 최초로 유탕처리 스낵 새우깡을 만들고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처음으로 라면을 수출했다. 1975년 농심라면을 만들면서 처음으로 농심 브랜드를 쓰기 시작했으며, 이듬해에 증시에 상장했다. 1978년 현 사명으로 개칭 후 1980년 미국 켈로그와 합작해 농심켈로그를 세웠고, 1982년 경기도 안성군에 스프공장을 세웠다.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1988 서울 올림픽 공식 라면공급업체로 지정되기도 했다.
이후 구미공장, 아산 스낵공장, 대방동 신사옥, 중국 상하이 현지공장이 차례로 세워졌고 1998년에는 생수 사업까지 진출했다. 2012년 제주 삼다수 판매권을 광동제약으로 넘기고 백산수를 새로 생산했다.
음식료 기업이다보니 판매품목이 무척 많지만 농심의 주력은 라면이라 할 수 있다. 실적분석에 있어 스낵이나 생수도 영향을 무게추는 여전히 라면에 있다. 연간 매출액의 78%가 라면, 15%가 스낵, 나머지 7%가 생수, 음료다. 켈로그, 츄파춥스 같은 상품과 기호식품 매출도 있기는 하지만 주력은 아니다. 국내 스낵시장의 30%가 농심의 몫이다.
국내 라면시장에서 농심의 위치는 절대적이다. 농심의 점유율은 지난해 3분기 기준 56%였고 나머지 삼양식품, 오뚜기, 팔도 등 나머지 업체를 모두 모아도 44%에 불과하다. 1985년 국내 라면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한 이래 신라면 (1986년 출시)과 너구리 (1982년), 안성탕면 (1983년), 짜파게티 (1984년) 등 히트 제품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농심의 라면매출은 내수시장과 해외가 각각 7대 3 정도의 비중이다.
라면사업의 특성상 가격인상과 판매량 증가가 급격히 늘어나기는 어렵다. 이 때문에 평상시에는 물가상승분 또는 시장수익률만큼의 성장성을 보인다. 그러나 이런 틀이 깨졌을 때는 다른 상황이 연출된다. 판매단가 상승이나 시장을 선도하는 신규 제품(2015년 짜왕, 맛짬뽕)의 등장은 실적개선이 제한적일 것이란 편견을 무색하게 만들기도 한다.
4년8개월만에 이뤄진 라면업계 가격인상, 시장판도 바뀌나
올해 상황이 딱 이렇다. 우선 지난해 3분기 라면업계의 판매단가 인상이 이뤄졌다. 지난해 8월 농심은 4년8개월 만에 라면 출고가격을 평균 6.8% 인상했다. 라면가격이 1% 오를 때 농심의 개별기준 영업이익 증가율폭은 대략 23.2%수준으로 추산되는데, 이는 시장점유율이 1% 올랐을 때보다 크다는 것이 증권가의 분석이다.
차재헌 DB금융투자 연구원은 "가격경쟁 완화 시 라면과 여타 음식료 제품간의 제품가격 상승 괴리율은 상당 부분 축소될 것"이라며 "라면시장 내에서도 경쟁사들 대비 우위를 점하고 있는 농심의 라면 시장점유율 반등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원가비용은 다소 내려갔다.
조상훈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농심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6789억원, 314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7.3%, 20.5% 증가했을 것으로 본다. 원가 부담은 지속됐지만 가격인상 효과가 그만큼 크다는 것이다. 특히 국내 소비자들이 신제품보다 기존제품을 선호하는 현상이 강해진 만큼 히트품목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농심의 점유율 강세가 예상된다는 지적이다.
주목할 것은 해외시장이다. 해외 매출은 주로 미국과 중국에서 나오는데 견조한 성장에 힘입어 지난해보다 18% 가량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일단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가 좋다. 코로나19(COVID-19)로 홈쿠킹 문화가 확산됐고, 여기에 기생충이나 오징어게임 등 문화콘텐트에서 시작된 K푸드 선호현상까지 더해졌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라면 수출액은 6억7441만달러(약 8057억원)로 전년보다 11.7% 늘었다. 역대 최대치였던 2020년의 수출액을 넘어 K-라면 열풍을 이어갔다. 한국 라면이 가장 많이 수출된 나라는 중국으로,지난해 1억4990만달러어치가 수출됐다. 그 다음으로 미국(8123만달러), 일본(6528만달러), 대만(3180만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농심에 따르면, 신라면은 2021년 3분기 기준 해외 매출액이 국내를 넘어섰다. 1986년 신라면이 출시된 이래 첫 기록이다. 신라면의 3분기 누적 국내외 매출액은 총 6900억원인데, 해외시장 점유율이 3700억원으로 53.6%에 이른다. 2020년 뉴욕타임스는 세계 최고의 라면으로 신라면블랙을 선정했고, 2021년에는 신라면과 짜파게티를 선정하기도 했다.
때 마침 농심의 해외 생산기지 및 판매법인이 크게 확충된 상태다. 시기별로 △1996년 중국 상하이 △1998년 중국 칭다오 △2000년 중국 선양 △2005년 미국 LA 등에 공장이 세워졌다.
올해 1분기 미국 LA 제2공장 완공, 만들면 팔린다
농심은 올해 1분기 중 LA에 미국 현지 제2공장을 완공해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갈 전망이다. LA 1공장 물류창고에 증설되는 2공장은 봉지면 1개 라인과 용기면 2개 라인이 설치돼 연간 3억5000만개의 라면을 더 생산할 수 있다. 기존 1공장 생산량을 합하면 연간 생산량은 8억5000만개에 달한다.
제2공장 준공은 의미가 남다르다. 미국을 비롯한 북미지역은 공급부족이 심각했다. 공장이 가동되는 즉시 매출이 늘어난다는 얘기다. 2021년 미국지역의 매출액은 전년대비 12% 성장한 3452억원. 영업이익은 329억원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LA 제2공장의 가동율이 적정수준으로 상승할 경우 북미 지역의 2022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8% 증가한 4353억원, 영업이익은 5.4% 늘어난 404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2025년 북미지역의 매출은 5419억원, 영업이익은 500억원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DB금융투자는 예상했다.
미국시장은 농심에 있어 무척 중요한 시장이다. 전 세계 즉석 면류 수요 5위이며, 서구권에서 가장 많은 소비를 하는 지역이다. 2021년 기준 미국 라면 시장규모는 1조5000억원 수준이며 상위 3사의 시장점유율은 일본의 동양수산이 40%, 닛신이 20%초중반, 농심이 24%내외로 특히 농심의 점유율 상승이 가파른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라면 브랜드는 봉지면의 경우 3~4개 한 팩이 1달러 부근인 반면, 신라면은 개당 1.3달러 안팎으로 상대적으로 고가다. 일본 라면은 저소득층을 공략 대상으로 하는 반면 신라면은 원재료와 브랜드 측면에서 일본 라면과는 현격히 차별화된 프리미엄 전략을 추구한 게 주효했다는 평가다.
목표주가 상향 생각하는 애널리스트들
농심라면은 미국에서 2017년 월마트 전 점포 입점에 성공했고 코스트코 등 대형 유통사 마케팅도 진행되고 있다. 미국 국방부(펜타곤) 등 주요 정부 시설에까지 라면상품 최초로 입점했다. 신라면이 월마트에 처음 판매된 시기는 2013년, 7개 매장에서 테스트를 시작한 것이 계기였다. 월마트는 제품에 대한 검증이 까다롭고 테스트 판매에서 실패하면 그 이후로는 거의 입점할 수 있는 기회가 없는데 농심은 미국 전역 월마트 42개 물류센터에 제품을 직접 배송하고 있을 만큼의 제품과 물류 경쟁력을 확보했다.
차재헌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월마트 전 매장에 신라면이 입점된 것은 그만큼 신라면의 브랜드 파워가 글로벌 무대에서 통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월마트가 미국 전역에서 판매하는 식품은 코카콜라, 네슬레, 펩시, 켈로그, 하인즈 등 세계적인 식품 브랜드 뿐"이라고 말했다.
창업주인 선친을 이어 지휘봉을 잡아든 신동원 농심 회장의 경영 스타일도 주목할 대목이다. 신 회장은 농심의 세계화를 진두지휘해왔는데 국제담당 대표이사를 역임했고 1997년 칭다오 공장, 1999년 선양 공장, 미국 LA 공장설립을 진두지휘하면서 세계에 농심 브랜드를 알리는데 힘써왔다. 해외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기 때문에 빠른 의사결정과 과감한 투자, 전폭적인 마케팅 지원이 이뤄질 수 있다.
증권가 시각은 호의적이다. DB금융투자는 목표주가를 기존 40만원에서 43만원으로 상향했고 하나금융투자는 일찌감치 목표주가 50
- 내댓글 보기